무료...무료 인증서를 찾자 무료!!!!!startssl 발급받기! - 다음편에계속
결국 공인 인증서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무료였으면 좋겠다라는 오더에 입장을 적극 반영하여 검색을 합니다.
무료SSL 을 구글님에게 물어보니
startssl 이란 녀석을 알려줍니다. 물론 오더도 startssl 을 주문 했구요
이런 사이트 입니다만... 울렁증이 좀 오네요 하지만 개발자의 퓔로 . 사실 저의 멘토 이부장님이 도와주셧습니다. 해석을 도와 주신건 아니고 ssl 발급에 대한 용어와 지식을 알려주셧죠.
두 화면이 번갈아 가구요 프리 ssl 이란 단어를 보고 클릭 하였지만
가입을 하라네요 ㅎㅎ 이메일과 나라선택하고 이메일에 인증코드를 보내면 그걸 입력하면 됩니다.
그럼 login 에서 인증(왼쪽) 을 선택하면
이메일 인증으로 발급 됬던 인증서가 선택 되네요 마치 금융사이트의 공인 인증서 를 선택하는 것 같습니다.
저곳에서 상단부분의 validations wizard 를 선택 해야 합니다. 사실 인증위자드에서 바로 web ssl 부분이 있서 클릭하니 저기를 거치라고 하더군요
맨위에 도메인 인증을 마치면 그 도메인에 대한 인증서가 발급 됩니다.
아까 처음에 가입과 동시에 이메일에 인증서가 PC에 발급 된것 처럼요
해당 도메인에 관리자성향을 띈 메일리스트를 불러온건가 ..혹은 관리자 메일 이겟거니 한 메일리스트가 나옵니다.
이것 때문에 한참 고민 하고 삽질 했습니다. 맨위에 노출된 메일은 퇴사하신지 오래된 분이고 다른 메일주소는 없거나 공용으로 사용되는 메일이기 때문에 ... 그중 없는 메일 주소를 관리자에 양해를 구하여 새로 생성 해서 진행을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해당 메일에 인증코드를 보내고 그 인증코드를 입력하면
이 화면으로 넘어오게 됩니다. 이제 서브도메인을 포함한 URL을 입력하시고 해야 할일은 CSR을 생성 하는 것인데요 StartComTool.exe 를 클릭하면 파일을 하나 다운로드 하게 되는데 아래 그림을 띄운것입니다. 이 작업과 세번째 라디오 버튼 방법으로 생성을 해도 되는데 저는 첫번째거로 햇기 때문에 이것만 설명할게요. (삽질이엇기 때문에... 3번째는 바로 비번 치면 생성되요)
1. Generate mode : 윈도우용 리눅스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네요
2. Certificate Type : 클라이언트 인증, 코드 인증, ssl 인증 입니다. 유형별로 인증받으세요
3. Certificate subject infomation : 정보를 입력하는 곳입니다. 나라정보, 개인정보, 도메인이름 정도 적어주세요
4. 이 부분에서 미리 생성한 key 파일을 넣어줘야 하는데요 key는 리눅스서버에서 생성해놓았습니다.
# rpm -qa openssl 로 openssl 이 있는지 확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있더라구요
# openssl genrsa -des3 -out server.key 2048 로 키를 발급 받습니다. 발급 받은후에 ftp로 빼놓은 파일을 준비했었죠
혹시나 키생성할때 비번과 저 위에 비번치는 곳은 동일하게 했습니다.
그후 툴박스에 가보면 맨위에 인증리스트를 클릭하면됩니다 내인증받았던 내역을 파일로 받을수 있죠
1년은 무료, 그이후는 다른 인증이 필요하며 돈을 지불하는 형식입니다.
제 발번역으로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이제 발급 받았으니.... 적용은.... 서버관리자에게 넘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