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상위를 4개로 나누면
1번 : src/main/java 우리가 개발하는 소스파일이 들어있다. 사진에는 짤려서 나오지 않음
2번 : src/main/resources 소스파일이 실행이 되기위한 설정파일(db연동, properties설정등)
3번 : src/test/java TDD 소스
4번 : src/test/resource TDD가 실행되기 위한 설정파일이다.
1번 쪽에 테스트하고싶은 컨트롤러를 하나 정해서 마우스왼쪽버튼
New -> Other -> jUnit Test Case 를 선택
Source folder 부분의 Browse...를 눌러 3번 src/test/java 으로 수정하여 완료 한다.
그리고 4번 src/test/resource 쪽에 DB를 연동하는 datasource 와 properties 를 비롯하여
각종 빈 설정 컨텍스트 파일을 넣어준다. 또한 sql 위치설정 파일도 함께 DB연결을 위하여 넣
어준다.
이곳에 있는 설정 파일은 2번src/main/resources 의 파일을 복사해 왔을 뿐이다.
그럼 이제 TDD 소스를 작성하면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로 선언 하고 TDD 시작을 알린후
@ContextConfiguration(locations = {"classpath*:context-*.xml"}) 로 먼저 읽어야할 설정
파일의 위치를 알려줘야 한다.
* 의 의미는 생략하겟다(context- 이후 다른 글자 파일 모두)
저 위치는 바로 4번 위치가 되겠다.
context 설정 파일들은 기존 설정과 같고 주의 할 파일을 살펴보면 sqlMap 설정인데
context-sqlMap.xml 파일을 보면
기존
수정 후
configLocation 의 value의 위치는 바로 자기 자신 폴더로 변경 해주는 것
다음 sql-map-config.xml의 sql 파일의 경로에 최상위 / 를 제거해 줘야 한다.
예를 들어 <sqlMap resource="/root/sqlmap/sql/Code_SQL.xml"/> 라면
<sqlMap resource="root/sqlmap/sql/Code_SQL.xml"/> 맨앞의 /를 제거 했다.
마지막으로 assertEquals 를 써서 비교를 해주면 테스트가 끝난다 물론 assertEquals이것은 같은지 아닌지를 비교 하는 것이다.
@Test 위에 @Autowired 를 어떻게 쓸수 있냐고 물어본다면 ... 할말은 없고 3번 영역의 파
일들을 왜 갔다 붙였는지 생각해 봐야겠다.
이상 끝
반응형
'JAVA&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gument type mismatch (0) | 2023.04.26 |
---|---|
대용량 쿼리 ResultRowDataHandler + 대용량 엑셀다운로드 SXSSFWorkbook 를 이용하여 OOM(Out Of Memory), GC overhead limit exceeded 방지 (0) | 2023.04.21 |
Java 소수점 연산에서 오차가 발생할때 (0) | 2023.04.07 |
spring cache 를 사용 하기 위한 ehcache 사용법 (0) | 2023.04.05 |
유용한 차트스크립트 하이차트(highcharts) (0) | 2015.04.20 |
현재 세션에 저장된값 확인 (0) | 2015.04.01 |
JSP 의 페이지를 엘셀추출 하기 (0) | 201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