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프로젝트에 관리자 서비스를 만들다 보면 통계를 낸다는 것은 피해 갈수 없는 사례이다.

통계를 내면 단연 차트를 이용한 있어 보이는 그래프 하나 달기 마련이고 그래프를 달기위해선.... 


방법이야 많겠지만 하이차트라는 프로그램이 있어 사용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highcharts는 데모방식으로 개발할때는 무료 라이센스로 사용 을 하다가 사이트의 목적에 따라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 하는 방식 인것 같네요 

홈페이지에 샵에 들어가보면 가격이 적혀 있는데 뭔 내용인지 ... 


제일 위에 것은 단일 페이지 인것은 확실 합니다. 10만원 즈음 되겟네요 뭐... 상업적인 페이지에 한해서 이겟죠..

문제는 다음 개발자 단위로 구입 하는것은... 1인한테 자유이용권? 같은 개념일것 같습니다. 좀 비싸네요 ㅎㅎㅎ 통계전문 인력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은 패스 합니다. ㅎ




위 그래프 보이십니까... 대단 하죠 ...

저게 스크립트라니...

http://www.highcharts.com/download 이곳에서 다운 받으실수 있습니다. 저는 공부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상업적이 아닙니다. ㅎㅎㅎ


뭐 이런 저런 막대 그래프 는 기본이고 이런 나라별 통계도 나와 있는거 보니 .. 잘만 사용한다면 고급인력 인척 할수 있겟습니다.


사용법은 간단 합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c:url value='/js/jquery-1.9.1.mi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c:url value='/js/highcharts/highcharts.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c:url value='/js/highcharts/modules/exporting.js'/>"></script>


제이 쿼리를 포함한 하이차트의 스크립트를 포함해 주면 됩니다. 

그리고 div 영역이 필요하구요


<div id="container" style="width: 100%; height: 400px; margin: 0 auto"></div>


이제 저 div 를 활성화 시켜주면 되요


$('#container').highcharts({ 소스넣자 });


이렇게 말이죠... 저 소스 부분에는 홈페이지에 관련 API 가 있어요 자바 클래스다이어그램 처럼 보기 좋게 되어 있으니

사용 하실 타입과 수치 데이터 등등 입력이 가능합니다.


테마도 있으니 편하게 사용 하면 될듯하네요.


반응형


최고 상위를 4개로 나누면 

1번 : src/main/java 우리가 개발하는 소스파일이 들어있다. 사진에는 짤려서 나오지 않음

2번 : src/main/resources 소스파일이 실행이 되기위한 설정파일(db연동, properties설정등)

3번 : src/test/java TDD 소스

4번 : src/test/resource TDD가 실행되기 위한 설정파일이다.  


1번 쪽에 테스트하고싶은 컨트롤러를 하나 정해서 마우스왼쪽버튼 

New -> Other -> jUnit Test Case 를 선택

Source folder 부분의 Browse...를 눌러 3번 src/test/java 으로 수정하여 완료 한다.





그리고 4번 src/test/resource 쪽에 DB를 연동하는 datasource 와 properties 를 비롯하여 

각종 빈 설정 컨텍스트 파일을 넣어준다. 또한 sql 위치설정 파일도 함께 DB연결을 위하여 넣

어준다.

이곳에 있는 설정 파일은 2번src/main/resources 의 파일을 복사해 왔을 뿐이다.


그럼 이제 TDD 소스를 작성하면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로 선언 하고 TDD 시작을 알린후

@ContextConfiguration(locations = {"classpath*:context-*.xml"}) 로 먼저 읽어야할 설정 

파일의 위치를 알려줘야 한다.

* 의 의미는 생략하겟다(context- 이후 다른 글자 파일 모두)

저 위치는 바로 4번 위치가 되겠다.


context 설정 파일들은 기존 설정과 같고 주의 할 파일을 살펴보면 sqlMap 설정인데 
context-sqlMap.xml 파일을 보면 
기존

 

수정 후 
configLocation 의 value의 위치는 바로 자기 자신 폴더로 변경 해주는 것 

다음 sql-map-config.xml의 sql 파일의 경로에 최상위 / 를 제거해 줘야 한다.
예를 들어 <sqlMap resource="/root/sqlmap/sql/Code_SQL.xml"/> 라면 
<sqlMap resource="root/sqlmap/sql/Code_SQL.xml"/> 맨앞의 /를 제거 했다.

마지막으로 assertEquals 를 써서 비교를 해주면 테스트가 끝난다 물론 assertEquals이것은 같은지 아닌지를 비교 하는 것이다.

@Test 위에 @Autowired 를 어떻게 쓸수 있냐고 물어본다면 ... 할말은 없고 3번 영역의 파

일들을 왜 갔다 붙였는지 생각해 봐야겠다.

이상 끝







반응형

현재 가지고 있는 세션에 저장된 값을 확인 하는 방법이다

 

Eunumberation eunumberation session.getAttributeNames();

int i =0;

while(eunumberation.hasMoreElements()){

i++;

sessionName = eunumberation.nextElemnt().toString();

sessionValue = session.getAttribute(sessionName).toString();

}

반응형

<%

 response.setContentType("application/vnd.ms-excel;charset=utf-8");  
 response.setHeader("Content-Disposition", "attachment; filename=파일이름.xls"); 
 response.setHeader("Content-Description", "Data");

%>


JSP 상단에 입력해주면 된다.


각종 통계 리스트를 추출할때 테이블로 그려준 리스트를 페이지를 부르는 즉시 다운로드 하는 기능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