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놀고 있는 21:9 와이드 모니터를 활용하기 위해

애플티비를 구매 하였습니다.

와이드가 지원될까 정보를 수집하면서 4K가 된다는 소문이 있어서 구매.

네이버에서 해외배송으로 구매 하였습니다. ( 배송비 깡패 )

구성품입니다.


미쿡 에서 건너온 친구인지라... 전원코드가 110V 입니다.

해서 역시 지인에게 물어봐서 한국규격에 맡는 전원을 미리 구입해 뒀습니다.

( 8자 전원코드 라고 검색했음 가격은 3천원 정도 )


친구의 NAS ( synology ) 를 얹혀서 사용하고 있는데 DS 라는 어플이 애플티비앱에 있습니다.

자막이 없는 영상정도는 보는데 지장이 없을거 같습니다.

물론 와이드 화면이 모두 지원 됩니다.

그럼 이만.

반응형


안녕하세요 카군입니다.


요즘은 블로그 글을 쓰는 일이 번거로워서 그런지 잘 안쓰게 되네요 하지만 공부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그동안 새로운 분야의 시도를 여러번 했지만 ... 심취한 듯이 캡쳐라든지 모든걸 빼먹어서 아쉬울 따름입니다.


오늘은 그동안 진행했던 프로젝트의 테스트를 진행 하고 자 합니다. 


우선 동영상 플레이어의 완성과 그안에 광고를 심어 봤는데 







혹여 테스트 영상이 저작권이나 이런 곳에 문제가 되지 않을까 우려 되네요 경고가 오면 내리도록 해야겟네요.


구글 광고를 모티브로 제작 해본 겁니다. 오랜 기간이 걸리긴 했지만....


다음 베너 입니다.







다른 베너를 보죠... 







ㅎㅎㅎ.. 링크 서비스르 광고주의 사이트로 이동 까지 구현 되었습니다. 


블로그 형 테스트로 남겨 놔도 좋을 것 같네요 


마지막은 직원 요청 추가 



반응형



서버 관리자에게 넘기기로했는데 서버 관리자가 인증서에 대해 해매고 계서서 결국 제가 ㅠㅠ

이걸 visualSVN 인증서로 등록해야 하는데 윈도우 서버더라구요 ... 우스게 거리가 될테지만 ... 저는 윈도우서버를 한번도 안만져 봣거든요 ㅎㅎ 뭐.. 별 다른건 없겟죠?




사진을 급하게 만들었습니다. 첫번째 네모에서 오른쪽 버튼 누르니 프로퍼티가 나오더군요 그다음 네모 박스를 따라가니 인증서를 넣는곳이 있습니다.


그후는 다음다음 하면 되는데 어쩌고어쩌고 not match 라고 하더군요 

또 몇시간 삽질 후에 다시 인증서를 발급 받기로 했습니다.

내가 만든키를 사용하지 않고 키까지 만들기로 



이화면은 아까 삽질의 원흉이엇는데요 ... csr을 생성하지 않고 세번째로 키를 만들었습니다. 세번째 라디오버튼 클릭하면 비밀번호 쓰라고 나오는데 첨부터 이걸로 할걸 그랬어요 ㅠㅠ


그럼 다음 페이지에 키파일을 다운로드 할수 있게 나옵니다. 캡쳐를 해놓는걸 깜박했어요 

그리고 툴박스 -> 인증서 리스트 에 내 목록에 액션을 클릭하면 create pfx 라고있어요




역시 생성 해야 합니다.



맨위에는 놓친 캡쳐 본인데 직접 패스워드 쳐서 발급 받은 키를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해서 인증서를 발급 받으니....




이중에 아파치용을 사용 합니다.



그리고 에디터 파일을 켜서 저 파일을 열어 보면 얄딱구리한 텍스트 파일들이 있어요

파일을 하나로 조합해서 XXX.pem 파일로 생성을 해줍니다.


조합 순서는 key -> 도메인.crt -> root~.crt 입니다.


그리만든 pem 파을로 svn 인증서를 교체 해주면 됩니다. 공인인증서로 바꿔서 url을도메인을 사용하니까 이모든 시초인 svn 리스트 404가 사라졋습니다!!!


반응형



결국 공인 인증서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무료였으면 좋겠다라는 오더에 입장을 적극 반영하여 검색을 합니다.

무료SSL 을 구글님에게 물어보니

startssl 이란 녀석을 알려줍니다. 물론 오더도 startssl 을 주문 했구요



이런 사이트 입니다만... 울렁증이 좀 오네요 하지만 개발자의 퓔로 . 사실 저의 멘토 이부장님이 도와주셧습니다. 해석을 도와 주신건 아니고 ssl 발급에 대한 용어와 지식을 알려주셧죠.



두 화면이 번갈아 가구요 프리 ssl 이란 단어를 보고 클릭 하였지만



가입을 하라네요 ㅎㅎ 이메일과 나라선택하고 이메일에 인증코드를 보내면 그걸 입력하면 됩니다.



그럼 login 에서 인증(왼쪽) 을 선택하면



이메일 인증으로 발급 됬던 인증서가 선택 되네요 마치 금융사이트의 공인 인증서 를 선택하는 것 같습니다.



저곳에서 상단부분의 validations wizard 를 선택 해야 합니다. 사실 인증위자드에서 바로 web ssl 부분이 있서 클릭하니 저기를 거치라고 하더군요




맨위에 도메인 인증을 마치면 그 도메인에 대한 인증서가 발급 됩니다.

아까 처음에 가입과 동시에 이메일에 인증서가 PC에 발급 된것 처럼요



해당 도메인에 관리자성향을 띈 메일리스트를 불러온건가 ..혹은 관리자 메일 이겟거니 한 메일리스트가 나옵니다. 

이것 때문에 한참 고민 하고 삽질 했습니다. 맨위에 노출된 메일은 퇴사하신지 오래된 분이고 다른 메일주소는 없거나 공용으로 사용되는 메일이기 때문에 ... 그중 없는 메일 주소를 관리자에 양해를 구하여 새로 생성 해서 진행을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해당 메일에 인증코드를 보내고 그 인증코드를 입력하면



이 화면으로 넘어오게 됩니다. 이제 서브도메인을 포함한 URL을 입력하시고 해야 할일은 CSR을 생성 하는 것인데요 StartComTool.exe 를 클릭하면 파일을 하나 다운로드 하게 되는데 아래 그림을 띄운것입니다. 이 작업과 세번째 라디오 버튼 방법으로 생성을 해도 되는데 저는 첫번째거로 햇기 때문에 이것만 설명할게요. (삽질이엇기 때문에... 3번째는 바로 비번 치면 생성되요)



1. Generate mode : 윈도우용 리눅스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네요

2. Certificate Type : 클라이언트 인증, 코드 인증, ssl 인증 입니다. 유형별로 인증받으세요

3. Certificate subject infomation : 정보를 입력하는 곳입니다. 나라정보, 개인정보, 도메인이름 정도 적어주세요

4. 이 부분에서 미리 생성한 key 파일을 넣어줘야 하는데요 key는 리눅스서버에서 생성해놓았습니다. 




# rpm -qa openssl 로 openssl 이 있는지 확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있더라구요

# openssl genrsa -des3 -out server.key 2048 로 키를 발급 받습니다. 발급 받은후에 ftp로 빼놓은 파일을 준비했었죠

혹시나 키생성할때 비번과 저 위에 비번치는 곳은 동일하게 했습니다.



그후 툴박스에 가보면 맨위에 인증리스트를 클릭하면됩니다 내인증받았던 내역을 파일로 받을수 있죠


1년은 무료, 그이후는 다른 인증이 필요하며 돈을 지불하는 형식입니다. 

제 발번역으로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이제 발급 받았으니.... 적용은.... 서버관리자에게 넘기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